건축학개론 (2012)

8.6
감독
이용주
출연
엄태웅, 한가인, 이제훈, 수지, 조정석
정보
로맨스/멜로, 드라마 | 한국 | 118 분 | 2012-03-22




기대 혹은 우려했던 것처럼,

건축학 개론을 보고 옛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지는 않았다.

90년대 말의 향수도 난 뭐 그다지..

 

그런데 이 영화. 이상하게 여운이 길게 남는다.

이 길게 남는 여운의 중심에 자꾸만 수지의 얼굴이 떠오르는 영화.

 

영화를 보는 내내 나는 수지를 보면서 약이 올랐다.

이제훈을 보면서도 약이 올랐지만, 예쁜 수지에게 더 약이 올랐다.

 

왜 나에겐 그렇게 풋풋하게 서툴렀던기억이 별로 남아있지 않는 걸까.

아니면 기억하고 싶지 않은 걸까.

 

서툴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서툴지 않은 척 하려 했던 나는

그때나 지금이나 참 서툰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전히 서툰 사람이라는 것도 속상한데,

마냥 풋풋하기도 민망한 나이이니

어떻게 수지를 보고 약 오르지 않을 수 있냔 말이다!

 

그런데, 과연

연애에 서투르지 않을 수 있는 날이 오긴 올까!

아티스트
감독 미셸 아자나비슈스 (2011 / 미국,프랑스)
출연 장 뒤자르댕,베레니스 베조
상세보기


1. 

"대중은 틀리는 법이 없지"

막연히 아티스트가 일루셔니스트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바람에
보고나면 왠지 마음이 무거워 질 줄 알았는데
의외로 아티스트는 누가 보아도 재미있다고 느낄만한 사랑스러운 영화!


2. 

이제는 인기가 없어진 마술쇼를 하는 일루셔니스트.
유성영화의 등장으로 하루아침에 전성기 스타에서 퇴물 배우가 되버린 무성영화의 배우.
 
이전에 이런 소재들을 접하면 
원형의 보존이냐, 대중성 확보를 위한 현대화냐를 끊임없이 다투는 
전통문화에 대한 고민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곤 했었는데, 

아티스트의 주인공 조지가 유성영화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무성영화를 고수하며,
결국 대중의 무관심 속에 혼란에 빠지는 삶을 살다가
결국 자신의 방식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관람객으로 지켜보면서
이것은 비단 예술가들만 겪는 일이 아닌, 우리 모두가 자주 직면하게 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긴 역사속에서 전례없이 복잡하고, 다양하며, 빨리 변하는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들.
옛날이나 지금이나 삶은 순간 순간의 선택의 연속일테지만,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삶에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해서 
끊임없이 미래를 예측해야 하고, 수많은 선택지를 평가하고, 대안을 생각해야하는 지금은
그 선택의 순간이 너무 급작스럽게 다가오고 빠르게 지나간다. 

불확실하고 모호한 세상은 자꾸만 우리를 재촉하고, 
확신을 가지지 못한 선택은 늘 51:49의 어정쩡함을 남기고.
어제의 확신이 오늘의 부정이 되어 분열을 경험하기도,
신념을 고수하느라 부적응을 경험하기도 한다.  

앨리스[각주:1]스스로 떠나는 '일루셔니스트'가 될 것인가
결국 대중들의 변한 입맛에 맞추어 자신의 소리를 내게 되는 아티스트의 조지가 될 것인가. 
우리는 무엇이 더 좋은 선택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까? 

3.

영화 '아티스트'는
로 이야기를 전달하지 않는 대신, 음악을 통해 이야기 속 감정에 귀 기울이게 한다.  
말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차단 당함으로써,
우리는 그제서야 표정과 몸짓이 하는 이야기에 겨우 눈을 기울이고
평소엔 쉽게 넘겨버리고 마는 표정 속에 그렇게도 다양한 촉감이 있다는걸 알게 된다.

우리는 긴 역사 속에서 전례없이 빠른 속도와 넘치는 말 속에 살고 있다.[각주:2]
자의든 타의든 우리의 삶엔 점점 더 가속도가 붙고, 
매일 매일 업데이트 되는 크고 작은 소식에 일희일비하는 것이
일상이(어떤 이들에겐 그것이 마치 꼭 그래야만 하는 것처럼) 되었다. 

가던 길을 멈추고 잠시 멈추어 서 보는 것. 
말로 유형화 되어 있지 않은 다른 형태의 이야기들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
이런 느낌들을 자꾸 떠올리게 하는 영화다. 말이 아닌 느낌으로. 

  1. 영화 속에서 앨리스는 그의 진가를 알아보는 마지막 대중을 뜻한다고 한다 [본문으로]
  2. 한 연구에 의하면 유사 이래 서기 2000년도 이전 까지 유통되고 축적된 정보의 양이 2000년~2002년 동안 유통된 정보의 양과 동일하다고 한다. [본문으로]
자전거 탄 소년
감독 장-피에르 다르덴,뤽 다르덴 (2011 / 이탈리아,벨기에,프랑스)
출연 토마 도레,세실 드 프랑스
상세보기



1.
아무 일 없었다는 듯 툭툭 털고선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버린 그 소년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 소년은 자신에게 돌을 던져 나무에서 떨어지게 한 아들과,
그 돌을 멀리 던져 그 사실을 은폐하려한 그 아들의 아버지의 대화를 들었을까.
화가 난 건지, 슬픈 건지 쉽게 판단이 안되는 그 소년의 마지막 표정이 자꾸만 마음에 남는다.


2.
영화는 나에게 '좋은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한 고민을 던져주었다. 

나는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까.
나와 미래의 배우자는, 자녀 양육을 할 때 어떤 지점에서 의견대립을 하게 될까.
좀 웃긴 것 같지만, 난 이십대 초반부터 혼자서 이런 고민을 하곤 했다. 
언젠가 부터 대책도 없이 "엄마가 되어보는 것"이 정말 커다란 꿈 중 하나였으니까. 

그런데 요즘은 질문의 각도가 아주 조금 달라졌다.
이를테면,
스스로의 삶조차 불안한,
집이 없어 결혼을 못하고,
양육의 엄두가 안나 출산을 포기하는 부부들이 점점 늘어나고 가는 이 시점에
'좋은 부모 되기'는 가능한가. '가족을 삶의 중심에 두는 것'은 가능한가.
 
'좋은 부모'를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따라
우리 모두는 좋은 부모가 될 수도 있고 나쁜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소년을 버린 소년의 친 아버지는 나쁜 아버지인가? 아니 다시 질문. 소년의 친아버지는 나쁜 사람인가? 
영화의 막바지에 등장한, '아들의 죄를 숨기려고 한 아버지'는 좋은 아버지인가?


3.
마침 영화를 보기 전날, 가족을 위해 쉽지 않은 결정을 한 사람들을 만나고,
공교롭게도 요즘 '결손가정'과 관련한 논문들을 읽고있던 터라
여러모로 머리가 복잡해 졌던 영화


4.
아까 트위터에서 이런 글귀를 본 것 같다. 
"부모는 바로 신이다. 최소한 우리 인생의 몇 년 동안은 말이다.
그리고 그 최초 몇년이 우리 정신의 근본을 놓는 시기다- 이승욱, <상처 떠나보내기> 중"
그런데 그 글귀보다 더 공감이 갔던건 그 글귀에 이어지는 심리학자 김태형님의 코멘트.
"때때로 거부하고 싶은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진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