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는 '세계의 끝 여자친구'의 작가의 말에서, '네 마음을 내가 알아' 라고 말해서는 안된다고 굳이 적어놓았다. 그런데 웬걸.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읽으면서 나는 주인공 남자가 나를 사랑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내내 생각했다. 그 이유는 바로, 완전히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사실은 요즘 누군가가 나를 완전히 이해할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기대인지 깨닫고 있다. 그치만, 사람이라서 또 이렇게 쉽게 생각해 버리는 나를 또 마주하게된다.) 

그는 정말 내 마음을 알것 같았다. 2008년 봄부터 2009년 5월 까지 이어진 나의 길고긴 사춘기에 대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그는 나를 이해할 것이 분명하다고 느껴졌다. 
다른 세대, 분명 다른 시간과 계기였지만 1980년대의 그도, 2008년의 나도 그제껏 믿어왔던 '세계'가 바뀌는 경험을 했다. 그리고 그것을 눈치챌 그 즈음엔 영문도 모른채 방황을 했다.

그제야 나는 그즈음 내가 공들여 지어온 집이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가 반석이라고 믿었던 모든것들이 한낱 환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그 순간 알게되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그런 자각은 그해 6월, 나를 향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세차게 밀려들던 우울 (지금 생각해보면 그건 나만의 지극히 개인적인 우울이 아니라 한시대 전체가 느끼던 거대한 우울이었던 듯 하다. 그렇기 때문에 한 개인이 감당하기에 그 우울은 너무나 컸다)로 부터 나를 구해냈다. 나를 구한건 '자기 자신이 되어라' 라는 마지막 문장이었다. 인생은 자기 자신이 지배하는 것이다. 너의 인생을 누구에게도 맡기지 말라. 무엇보다도 네가 선출한 지도자에게는 맡기지 말라. 자기 자신이 되어라 - 123p

주인공이 공들여 지어온 집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시점부터, 마지막장에 이를때 까지 책속엔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들려주지만, 그 이야기들과는 상관 없이 주인공의 모습이 꼭 2008년 4월의 어느 새벽에서 부터  2009년의 5월, 햇살이 정말 뜨거웠던 그날의 서울역 앞에 서있던 내모습과 너무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그래서일까, 간혹 쉽게 이해가 안되거나 공감이 안되는 부분을 읽을때면 너무 안달이 났다.

잘가. 안녕. 나는 막 말을 배우는 아이처럼 더듬더듬 중얼거렸다. 안녕이라고. 지금도 나는 그렇게 믿고 있다. 1991년의 10월 어느날 해질무렵, 나는 한때 내가 살았던 어떤 뜨거운 시절에게 작별인사를 던진것이라고. - 389p


그것은 시대의 문제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개인의 문제였던것이다.
그래서 나는 1980년대의 그의 방황에 공감했고, 그의 이야기에 2008년의 내가 새삼 위로를 받는 기분이었을테지.  그 시대에도, 2008년에도, 2010년에도 수많은 개인의 삶은 존재하고 그들이 수많은 상실과 좌절속에서 정리해 낸 수백, 수만개의 이야기들은 각자의 세계에서 일관성을 가지는 어떤 것으로 존재한다.실제의 삶이 그러했든, 그러하지 않았든.  (우리의 보통의 삶은 일관성을 가질 확률이 극히 드문데도 말이다) 

사기꾼이자 협잡꾼, 광주의 랭보 이길용이자 안기부의 프락치 강시우였던 그 남자에 대해 이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사실뿐이지만, 어쩌면 그건 우리가 그에대해 알아낼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죽지않는 한 그는 살아남기 위해 시시각각 열망할테고, 그 열망이 다시 그를 치욕스럽되 패배하지 않는 인간으로 살아남게 할테니까 말이다. - 375p

나의 길고긴 사춘기가 끝나갈 즈음, 시대나 세대의 문제에서 개개인의 삶이라는 관점에서 생각을 하기 시작 하고서야 그간 막연한 동경에서 비롯된 386들에 대한 영문모를 미운감정이 조금씩 해소되고 있다고 느꼈다. 386 혹은 '그 시절', 혹은 그들이 우리세대에 가지는 우려나 반감 등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으로 치자면, 김연수의 소설은 그 어떤 세대론 보다 설득력 있고 촌스럽지가 않다. 그의 글은 굳이 따지자면 사회학적이기 보단 심리학적이고, 역사와 같이 큰 것을 이야기 하는 것 같지만 결국은 역사 속의 개인을, 끝이 어딘지 모를 개인의 '세계'에 대해 이야기 한다. 바로 그 부분이 무릎을 탁 치며 빵 터질듯한 가슴으로 책장을 넘길 수 밖에 없는 이유. 어쩌면 딱 나의 취향인것인지도. (요즘 나의 대화에서 김연수 작가의 이야기가 빠지면 도대체 대화가 안되는데, 그제는 심지어 아엘츠 스피킹 스터디 시간에 신나서 김연수라는 사람을 요즘 얼마나 사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침을 튀겨가며 이야기했다. 그가 결혼을 했고, 딸마저 있다는 소식은 최근 들은 이야기 중에 가장 슬픈것이었다 ㅋㅋ)

인간이 환상의 희생자가 된다거나, 과거의 것이 새로운 것 보다 더 강하다면, 혹은 '진실'이 자기편이 아니라 자기와 대립하고 있다면, 새로운 인간의 시대가 아직 오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식하거나 인식하다고 믿는다면, 그 실망이야 이루 말할 수 없다. 상황은 이전만큼, 아니 이전보다 훨씬 더 나쁘다. 과거는 꿈을 위해 온갖것을 희생하고 과감하게 전진했던 사람들을 기습하고 복수한다. ... 최선을 다 했기에 허탈감이, 아마도 그들은 너무나 희망했기에 너무 절망하게 된다. 늪에 빠지지 않은 자들은 더 나쁜 구렁으로 빠져든다. 꿈을 위해 뛰어다녔던 사람들이 이제 그 꿈에 맞서서 뛰어다닌다. 좌절당한 개혁자 보다 더 무자비한 반동분자는 없다. 길들여진 코끼리를 제외하자면 누가 야생코끼리에 맞설수 있겠는가. 그러나 실망한 사람들도 새로운 시대, 거대한 변혁의 시대에 살고 있다. 다만 그들은 새로운 시대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할 뿐이다. -373p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김연수 (문학동네, 2007년)
상세보기





1. 자존심

중고등학교시절 윤리책에서 강요하는 애국심에 동감하지도 않았고,
한일전 축구경기때 너무 뜨거워 다가가기 힘든 어떤 감정에 동요하고 싶지 않아했지만
언젠가 비전 발표를 할때, 자기비판을 하는 대한민국사람들 속에서 그들을 위한 일을 하고싶다고 말했다.
아마도 내 나름의 애국심의 표현이었을 것이다.
(어쩌다가 그말을 하게 된지 나도 의아했지만, 이민이나 유학이 성공의 기준인양 이야기 하는 앞 발표자들이
촌스럽다 여겨졌거나, 갑자기 화가나서 다혈질 적인 내가 그런말을 했던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작년이맘때 광우병파동으로 부터 그 이후로 주욱,
나는 애국심처럼 간지러운 말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자존심'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했는데,
그때 내가 '자존심'을 유지하기 위한 기제로 가장 많이 이용(?)을 했던것이
'촛불'과 '노짱' 그리고 그것을 키워드로 모인 사람들이었다.

노짱이 하늘나라로 간 다음날 새벽에 찾은 시청앞
텅빈 거리, 새까맣게 줄서있는 닭장차와 전경들
촛불은 찾아 볼수 없고,
저 닭장차 너머에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알수가 없다.

그래도 작년 이맘때엔
그곳에서 희망을 보았는데,
전경그득한 그 거리를 마주하는 순간
자존심이 무너지는 느낌이 들었다. 

'망연자실'
그느낌이 뭔지 알것 같았고,
닭장차 너머 옹기종기 모여 분향소를 지키는 이들의 얼굴에도
그 느낌이 그득했다.

어제아침부터 계속 지울수가 없는 느낌은,
나는 가장 존경하는 대통령이 아니라
내 자존심의 일부를 잃어버린것 같은 기분이다.

그래서 자꾸만 슬픔 보다 분함이나 억울한 감정이 앞섰나부다.


2. 이상과 좌절

얼마전에 읽은 책에서 이상주의자일수록 우울증이나 병적 게으름에 빠질 경향이 강하다는 구절을 보고 고개를 끄덕했다.

최근에 풀집 이윤호 대표의 이야기가 계속 생각이 났는데, 요약하자면 이런 내용이었다.
뜻있는 친구들 끼리 전혀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려 했는데
그 과정에서 발견했던 것은, 그렇게 뜻있게 모인 이들 또한
보수적인 교육을 받아왔던 이들이었기 때문에 그 한계를 발견하고 인정하기까지가 어려웠다는것

이상을 이야기 하는 이들에게 '현실'은 변화하거나 개혁해야 하는 대상이지만
많은 경우에 비판이나 비난의 대상이 된다.
요즘들어, 전자와 후자사이엔 일종의 선후나, 인과관계가 성립할 수 있고,
그 사이에는 뼈아픈 '좌절'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또하나, 느끼는 것은
너무 오랜 시간 동안, 그리고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대한민국의 현실이 비판의 대상이나 좌절감의 모체가 되었던것 아닌가 하는것이다.

그리고, 나름 평안한(아니 어쩌면 고요한) 시대를 살았던 나와 나의 또래들은
변화나 개혁의 논리나 당위보다는
비판과 좌절의 말들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이런저런연유들로 386들이 야속했었는데
요즘 '좌절'이 나의 화두가 되면서 386들이 안쓰러워 졌다.

비슷하지만 또 조금은 다른 이유로 근 몇달간의 노짱이 안쓰러웠었다.

그리고 착잡한 이 주말이
우리에게 또 한번의 좌절인거 아닌가 싶어
두렵고 착잡하다.



3. 무엇을 해야할까.

나는 사실 정치에는 별 관심도 없었던 88만원세대인데다
~~이즘을 강조하며 자신들의 정치방향이 옳은길이라 주장하는 모든정당도 딱히 맘에 내키지도 않을뿐더러
언제나 정치적인 것에 대한 해석은 나 중심적이고
촛불집회같은 건 한밤중에 혼자 슬쩍 나가서 옵저버처럼 관찰하는 소심함까지 갖추었는데

이렇게 자존심 상하고, 좌절감이 몰려들때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경찰이 오늘밤 부터 촛불시위대들에게 형광색소와 최루액이 섞인 물대포 쏠거랩니다.

형광물질이 옷에 묻은 사람은 지구끝까지 찾아가 잡을 태세던데 -ㅛ-

위협소구도 어쩜 이래 유치한지.

첨부한 사진은

그 발표가 나자마자 한 네티즌이 만든 기사예요 ㅎㅎ

조중동 일보라고 ㅋㅋ 제가 요즘 즐겨보는 신문이예요 ㅋㅋㅋㅋㅋㅋ

아. 정말 크리에이티브를 따라갈수가 없음

리플은 더 웃겨요.

" 옷에 빨주노초파남보 다 묻은거 경매에 내놓으면 짱이겠네욤" 이렇게 달렸음 ㅋㅋ

인촌님하가 촛불집회 때문에 외국인 관광이 줄었다고 했다는데 ... 0ㅅ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