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친구에게 메일을 한통 받았다.
[crossorbit's letter] +1. 내 생각은 어디서 오는가?
라는 제목의 편지.

'문득 친구(들)에게' 보내진 편지
친구들과의 새로운 대화의 방식을 제안하며 시작한 이 편지는,
편지가 출발점이 되어 친구들의 작은 소통의 장, 더 나아가 네트워크의 장이 되길 꿈꾸며 앞으로도 종종 편지하겠다는 말로 끝을 맺는다.

'요즘'을 살고있는 '나'의 고민과 생각을 꺼내어 이야기 하고, 나누고
이를 통해 '우리'의 이야기를 하자는것일까?
어찌되었건. 시작이란건 정말이지 설레고 멋진것. 용기가 필요한일.

아래는 그 친구에게 내가 보낸 답장.
그러고 보니 올해는 '우리 세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던 한해.



와우!

일단, 첫번째 메일을 발송을 축하하며,
너에게 무한한 존경과 박수갈채를!

난 무엇보다 너의 메일이 내 또래의 친구들에게 전해진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 진진해.

몇달전엔가 누군가와 이야기 하다가 ‘난 지금 ‘사회적’으로 외로운것 같아요’ 라고 말한적이 있어.
유독 몇개의 주제에 관련된 이야기를 할때, 386세대나 90년대 초반 학번들앞에서는 활발하게 이야기를 하면서,
오히려 나의 친구들, 내 또래들에게는 누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말을 꺼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나는 내 또래 친구들과 일을 벌여 보고 싶은데, 나와 비슷 한 생각을 하고 비슷한 일을 벌이고 싶은 친구를 찾기도,
소심한 나는 무작정 아무에게나 문을 두드려 보기도 힘들고 두렵다고.
(그치만 386이나 90초반 학번들이랑 같이 하기엔 그들이 너무 억지스럽고 촌스럽다고! ㅋㅋㅋ)

넌 나만큼 소심하지 않을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일을 보내기 까지 용기가 필요했을거라는 짐작을 해.
한편으로 이런 시도들이 나를 ‘사회적’으로 덜 외롭게 만들 수 있을까 하고 기대가 되기도 해 ㅋㅋ


**
3-3. 1년 전 즈음, 학교에 홍세화씨 강연을 소개하는 포스터가 걸려 있었습니다. 함께 걷던 친구는 그것을 보고 "이제 홍세화에게 열광할 때는 지났지"라고 말했고, 그 말에 저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그 말을 되새겼습니다. 이미 예전에 들었던,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던 것에 대해서 읽고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이 책을 읽은 다른 친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책을 대학생 초반에 읽었으면 참 좋았을 것 같아. 생각해보면 우리는 이끌어 주는 선배 없이 각자 익혀오느라 시간이 더디게 걸린 것 같다." 그 말에 저는 상당히 공감했지요. 유시민씨의 진정한 모교라는 ‘지하대학’도 없었고, 필독서를 추천해주는 선배도 없었으니까요. 그 때는 그저, 룰루랄라 신난다 마시자 a-yo 가 즐거움이었습니다.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니 편지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부분, 그리고 공감했던 부분.

하지만 나는 긍정적인 편이야.
최소한 우리세대는 사회의식이나 이념에 관한한 주입식 교육을 받지 않았구나 하는 안도감? ㅋㅋ

한편으로,
다양성이나 자유라는 허울좋은 가치들 아래에서 컨텐츠에 열광하는 우리 세대가
구조를  읽고, 체계를 만들어 내는 것엔, 힘이 약하진 않을까 하는 불안함이 동시에 있어.
사회나 가치에 대해 생각을 나누고 교류할 수 있는 계기나 기회가 없어
이런이야기를 할 때면 아직도 손발이 오그라드는 기분이 드는 것이 참 못나보이기도 하고.

그렇지만,
오히려 나는 그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들을 경계해
그것이 문제라고 규정하고, 흘러간 우리의 20대를 부정하는데서 출발하면
그 운동은 오래가지 못할 거라고 확신하거든
부정적 동기는 일시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만, 지속성이 약하다잖아.

88만원 세대, 20대 보수화, 개념없는 대학생 처럼 우리 세대를 낙인(?)찍다시피한 언어들은
우리세대에게 비판이나 위협소구의 방식으로 우리들에게 각성하기를 요구 했지만,
오히려 그런것들이 나를 ‘주눅’들게 하거나, ‘모른다는 것이 비난받을 이유라면, 쿨하게 관심없는척 하겠어요’라는 태도를 갖게 했었지.
적어도 내겐 그랬어. (급기야 88만원세대라는 말이 나온 이후로는 맘속에 실체가 없는 386에 대한 미움을 키워나가고 있었지 ㅋㅋ)
물론 그 언어들을 처음 이야기 한 사람들은 사회구조나 기성세대를 비판을 더 강하게 어필 했지만,
그 언어들이 확산되면서 우리세대를 ‘낙인’찍은 기능으로 더 많이 활용되었지. 재미있고 무서운 언어의 힘이랄까.ㅋㅋ (유시민 아저씨 책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왔던듯 )

고민의 지점을 달리하여, 내가 주욱 관심있는것은 그러면 우리세대의 강점은 대체 무엇인가? 야.
과연 어떤 칭찬이 우리를 춤추게 하며 그것이 사회에 의미있는 행동으로 나갈 수 있을까 하는 것?
너의 프로젝트에서도 이런것이 발견되거나 이야기 되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문득 든다.

며칠전에 내가 전면전과 진지전에 대해 이야기 했었지.

내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진보적 가치의 중요성을 아는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분야나, 각자가 잘 하는 일,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열심히 하는 거야.
작고 작은 일들이 엮이면 커다란 운동이 되지.
웃기고 재미있게, 소소하고 유쾌하게, 내 또래가 공감할 수 있게, 하고 싶어 할만하게.
가난뱅이의 역습처럼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501143115)
그리고, 너의 크로스올빗 레터 프로젝트 처럼!

사람들은 20대의 보수화를 우려했지만, 몇몇 지표들을 보면,
어린 세대로 갈수록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대.
기대를 걸어볼만한 일이지 않아?

(아무리 상징적 의미로 썼다고 하더라도)
바리케이트를 치고 짱돌을 던지는 모습을 상상하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촌스럽잖아 ㅋㅋㅋ
지금은 한나라당도 당비로 아이폰을 공동구매하는 시대라구! ㅋㅋㅋ
 
난 질긴놈 보다는 즐긴놈이 이긴다고 믿고있어! ㅋㅋㅋ



[함께 보면 좋은 글]


[김혜리가 만난 사람] <무한도전> 김태호 PD


갑자기 이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얼마 전에 읽은 『가난뱅이의 역습』의 저자, 마쓰모토 하지메 때문입니다. 뭐, 사실 이 책, 개인적으로는 새로울 게 없는 내용이라 ...


by 안쿵쿵 | 2009/12/22 01:04

내가 정말 '좋아하는', '좋아서 하는 밴드'를 담은, '좋아서 만든 영화'의 '좋아서 쓰는 감상문'...






  개인의 무의식을 바꾸는 것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것, 둘 가운데 어떤 것이 더 시급한 일인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질문이다. 모든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고, 모든 정치적인 것은 개인적인 것이다. 개인이 갖고 있는 편견이 집단의 억압이나 편견의 연료 구실을 한다. 어떤 사람이 자기 내면의 인간성을 억압하면 상대의 인간성도 억압하게 된다. 그렇기에 다른 사람을 부정하는 면이 내 안의 억압된 부분과 일치한다. 그래서 집단이 갖고 있는 편견은 개개인이 자기 안의 무의식적 편견을 수용한다면 극복될 수 있다.
- 2007-08-27자 한겨레신문 제레미 테일러 박사 인터뷰 중

사회를 변화시키려면 개인으로부터의 접근이 중요한걸까.
사회전반의 구조에서 문제의 해답을 찾아야 하는 것일까.

질문을 쓰고 나니 조금 바보스럽지만,
어쨋든 올해 들어 내가 가장 많이 고민했던 질문이 아니었나 싶다.
질문의 정답을 찾자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내가 지금 무엇을 해야하는 가를 찾고 싶었던 거였다.  

그러니까 질문을 수정해 보자면
내가 사회를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려면
개인에 집중해야 하는 것일까 사회로 관심의 방향을 돌려야 하는가
가 아니었을까 (질문을 수정을 해도 바보같긴 마찬가지군)

쨋든 내 고민과 연결되어있는 인터뷰 기사를 만나 반가운 기분이 든다.

내가, 내 주위의 사람들이, 그들을 둘러싼 모든 사람들이
지금보다 1%의 여유를 더 가진다거나
지금에서 20도 정도만 비켜서서 다른 관점을 가져본다면
세상이 바뀌지 않을까하는 기분좋은 상상을 한다.

그러면 내가 지금 할수있는 일은 뭘까?

일단 10%의 여유를 가지고
200도만 비-잉돌아 20도 만큼의 다른 관점을 가져볼까?






문화의 핵심적 역할은 그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을 정신적 카오스 상태로 부터 보호하고,
자신들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를 확신시켜주는데 있다. .
에스키모, 아마존유역의 수렵인종, 중국인들, 나바호 족, 호주 원주민 할것없이
모두들 자신들이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믿었으며
자신들이 신의 섭리에 따라 미래에는 온 세상의 주인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선민의식이 없었다면, 자연의 시련을 견디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

자신이 속한 문화가 신화나 믿음을 통해서 만들어 냈던
사실적이지 못한 방패들이
그 기능을 잃어버리는 순간
믿었던 만큼의 불안감이 엄습해 오는 것이다.

...

이러한 불행한 사태의 원인은 바깥에 있는것 같지 않다
자기의 나라가 매우 빈곤하다거나,
외국 주둔군으로 인해 압제에 시달리고 있거나
주위환경이 열악하지 않은 경우들은 문제를 나라탓으로 돌릴수도 없는 판이다.
불만족의 뿌리는 우리 내부에 있으며,
우리들 스스로의 의지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쓸모가 있었던 과거의 종교나 국수주의적 애국주의 등의 문화적 방패가
더이상 우리를 정신적 혼돈 상태로 지켜주지 못한다.

'넌 대체 뭐가 되고 싶니 > Be a 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득 친구에게  (0) 2009.12.29
개인의 변화와 사회의 변혁  (0) 2008.1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