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운 도시 서울로 돌아가 살 생각을 하면 벌써 숨이 턱턱 막힌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집을 알아보다가는 눈물을 주룩 주룩 흘릴 뻔한 정도.
그럴 때 마다, '
공부보단 시집이 먼저' 라는 아빠 말을 들을껄 하는 후회가 들기도 한다. 
 

말로만이었지만, 내가 올해 '결혼'이란 화두에 유난히 집착했던 이유에대해
롤랑바르트님하께서 약 3-40여년 전에 언급하신 이야기.


... 나를 둘러싸고 있는 그 안착한 사람들을 왜 나는 부러워 하는 걸까? 그들을 보면서 나는 무엇에서 제외되었다고 생각하는 걸까? 그것은 '꿈'이나 '목가적인 사랑' '결합'은 아닐 것이다. 안착한 사람들은 그들의 시스템에 대해 많은 불평을 하고 있고, 또 결합에의 꿈은 다른 문형을 이루기에, 아니 내가 시스템에서 환각하는 것은 아주 조촐한 것이다. (그것은 화려하지 않아 더욱 역설적이다). 나는 다만 하나의 구조( structure)를 바라고 원할 뿐이다. 물론 구조의 행복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구조는 살만한 것이며, 바로 거기에 구조의 가장 적절한 정의가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나를 행복하게 하지 않는 것 속에서도 잘 살아갈 수 있다. 불평할 수도 있고 지속할 수도 있다. 내가 감내하는 구조의 의미를 거부할 수도 있으며, 그 일상적인 몇몇 파편들(습관, 조그만 즐거움, 안정감, 견딜 수 있는 것들, 일시적인 긴장감)을 과히 불쾌하지 않게 통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때로는 이런 시스템의 지속에 대해(바로 이 점이 시스템을 살 만한 것으로 만든다) 어떤 변태적인 취향도 가질 수 있다. 다니엘 르 슬리트는 기둥 꼭대기에서도 잘 살았다. 그는 기둥으로 부터 하나의 구조를 만들어 낸 것이다(물론 어려운 일이긴 하였지만) ...

...구조들의 힘, 바로 그것이 우리가 구조에서 원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

- 롤랑바르트, 사랑의 단상 中 "모든 안착한 사람들"


아마 롤랑바르트님하가 구조주의에 심취하셨을때 쓴 글일텐데,
그렇게 치면 내가 큰 학교에가서 공부를 하려고 하는 것도 '안착하고싶은 욕구'
혹은 '구조들의 힘'과 별개의 것이라고 말할 순 없는 문제인듯 ㅋㅋㅋ





인경씨랑 처음 같이 밥을 먹은날 의외로 깊은 이야기를 나누었었는데,
다음날 나에게 추천해줄 책이 있다며 '고독'과 관련한 책을 선물해 주었다.

사실 쉽게 읽으라고 기획된 책인건 알겠는데 철학하는 사람들이 쓴 책이다 보니 왠지 읽기에 부담스럽고 어렵기도 하여
읽다 말다를 반복하다가 어제 결정적으로 일이 너무 하기 싫어서 책속으로 푹 빠져들었는데
고독의 본질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읽다 정말 울컥 했다. 위로받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부분
통합적으로 철학하기
카테고리 인문
지은이 텍스트해석연구소 (휴머니스트, 2006년)
상세보기

고독은 편안과 평온, 안정, 균형, 질서와는 거리가 멀다. 그 반대로 불안과 불균형, 혼돈과 가까이 있다. <방그르디>는 고독의 불안과 불균형 그리고 혼돈스러운 국면을 보여준다. 고독은 끊임없이 꿈틀거린다. 기본적으로 고독은 '경계의식'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것과 저것 가운데 어느 하나를 확실하게 선택하는 자에게 고독은 없다. 양자 간의 갈등을 체험하는 자에게만 고독할 '권리가 주어진다. 선택을 하지 못하고 갈등하는 햄릿은 그래서 고독하다. 몸은 이쪽에 있지만 마음은 경계선을 넘나들며 망설이는 자에게 고독은 찾아온다. 그래서 고독은 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동적인 감정이다. 내면의 극심한 심리적 갈등없이 고독하다고 할 수 없다. 고독한 이의 표면은 고요하나 그 이면에는 자기 파괴적인 동요가 일고 있다. - 통합적으로 철학하기.1.고독_ 텍스트해석연구소 유헌식 외 지음


일이든 공부든 경계에 머무르는 틈새에 있을때 호기심이 왕성해 지고 지식이 확장되는 나는
선택을 유보하거나 혹은 일부러 계속 경계에 머무르는 것을 선택하는데
어쩌면 이런 나에게 고독은 숙명같은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잠깐 들었다.
그래서 가끔 가족과 함께 있을때도 연인과 함께 할때도 사람들이 많은 모임자리에서도 외로움을 느끼는 것인지도.

그치만 항상 그 경계에 서있기 때문에 새로운 발견을 할수있고
조금은 거만하고 오만한척 '촌스러워'라는 말을 뱉어내는 내 자신이 나는 좋으니까
이왕 그런거라면 인정하고 즐기자라는 생각도 언뜻 들었다.

그래서 내게 이 책을 추천해 준걸까.

쨋든 그 경계를 설명하면서 나오는 예가 툴루즈로트렉이다.
사실 그의 그림이 주는 강렬함. 비비드함. 색채대비, 팝적인 느낌 등의 아우라때문에
워낙에 로트렉의 그림을 좋아했었는데
'고독'이라는 앵글로 그의 그림을 다시 보니
느낌이 굉장히 새롭다.

첨부한 이미지는 로트렉의 alone, 한글 작품명은 고독. 이란다.
이미지가 너무 강렬하여, 이 바쁜 아침에 블로그 포스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