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내용 분석이란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체계적 절차(Walizer&Wienir,1978), 자료로부터 문맥에 대한 타당한 준거를 만드는 연구기법(Krippendorf,1980), 변인측정을 목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 객관적, 수량적 방식으로 분석하는 방법(커린저, 1986)

내용 분석의 절차는 1)연구문제의 구성, 2)모집단에 대한 조작적 정의, 3) 분석 표본의 설정, 4) 분석 단위의 설정, 5) 분석 유목의 구성, 6) 수량화 체계의 수립, 7) 내용의 코딩, 8) 자료의 분석, 9)결과의 해석,

내용 분석에서 신뢰도는 중요한 개념. 유목의 범위를 최대한 상세히 정의하고, 코더의 훈련을 통해 코더 간 일치도를 높여야 함. 코딩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코더의 판단에 따른 차이가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는데, 분석단위를 유목에 따라 분류할 때는 기계적이고 신뢰도 높은 코딩이 가능하지만, 코더의 판단 여지가 많아질수록 신뢰도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큼. 신진욱(2007)의 연구에서는 코더 간 합의도를 높이기 위해 최대한 맥락단위의 도움 없이 코딩자체로부터 명확한 코딩 결정이 도출되도록 코딩체계를 수립하였는데, 방법론상의 엄밀성 추구를 위해 의미론적 수준의 연구 질문을 하고 형태론적 수준의 연구결과를 도출 한 것이 연구의 한계라고 기술하고 있음

한편 신진욱의 연구에서 내용분석을 위한 자료의 한계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는데, 분석 대상인 텍스트가 전략적도구적 성격을 가지는지, 재현적반영적 성격을 가지는지 판정하기 힘들다는 점과, 해당 연구가 다루고 있는 광주항쟁의 특수적 상황에 따른 한계로는, 분석에서 다룰 수 있는 자료 자체가 언어적 형식을 통해 체험을 표현하는데 성공한 부분에 대해서만 말해줄 수 있다는 점을 한계로 꼽았다. 위머&도미니크의 책에서는 코더의 인식 대 수용자의 인식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한계로 꼽았다.

 

<생각과 질문>

신진욱교수님 연구에서 자료의 한계로 지적한, 분석대상이 된 자료의 텍스트가 전략적도구적 성격을 가지는지, 재현적반영적 성격을 가지는지 판정하기 힘들다는 점은 해당 연구에서 특히 문제가 되었던 것일까? 대부분의 내용분석 연구가 안고 있는 문제일까. 이 문제를 대통령 담화 분석의 사례로 가지고 온다면 그러한 연구에서는 담화 텍스트가 기본적으로 전략적, 도구적 성격을 가진다고 상정하고 연구를 진행하는 것일까. 아님 그 반대인가? 한편 광고와 같은 자료를 생각해보면, 그러한 것들은 근본적으로 전략적 성격을 가지는지 반영적 성격을 가지는지 판정할 수 없는 자료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나는 내용분석의 결과가 완전히 별도로 분리된 방법론으로 만이 아니라, 앞에서 우리가 다룬 텍스트를 해석적, 질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들에서 나온 결과를 지지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든다. 방법론이 추구하는 방향은 다를 수 있지만, 결과를 어떻게 보다 설득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의 면에서 통계적 방법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