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베스트셀러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행복의 조건'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내내 조금 들뜬 기분으로 지냈다.  그 엄청난 데이터를 멋진 책으로 정리 해 낸 것을 보는 행운을 얻은 것만해도 좋은 일이었지만 내가 이제껏 해왔고 좋아했던 일들을 정리하는데, 앞으로 해야할 일을 계획하는데 의외로 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나를 가장 들뜨게 만들었던 것은 '성인발달'이라는 말을 새삼스럽게 발견한 것이었다.

전에 내가 다니던 회사에서는 '자가성장'이라는 말을 지겹도록 많이 썼는데, 지나고 보니 의외로 내가 그것에 상당히 공감했고 좋아했었구나 싶다. 그리고 그것을 우리 조직 내에서 말로만 강조했던 것 보다, 그것을 타인을 통해 관찰하고 경험할 수 있는 프로젝트들에서 받은 감동 같은 것들이 역으로 나의 성장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느껴지곤 했었다.
 
그것은 예를들면 이런것이었다. 어르신문화학교에서 만난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그 당시 여덟살이었던 나의 막둥이 동생이 커 가는것 보다 무서운 속도와 에너지로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는것.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를 지나 노년기에 접어든지 한참이 지난듯한, 이전의 나는 전혀 상상도 해보지 못한 '어떤 시기'를 살아가고 있는 그들이 무언가를 배우고, 그 감정을 나누고, 자신의 욕구들을 드러내기 시작할때. 그들이 이전에 가져보지 못했던 새로운 에너지와 자신감과 행복감을 이야기 할때면 나도 모르게 뭉클한 감정이 올라와서 목청이 얼얼해지곤 했었다.

 얼마전에 누군가는 내가 굉장히 낭만적인 프로젝트만 경험했기 때문에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보이는 발견을 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말에도 정말 공감을 했다. 그치만 어찌되었건 내게 중요한것은 사람들은 누구나 스스로의 성장방식과 문제 해결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든 꺼내어 보여질때, 혹은 그 계기를 맞닥드릴때,  자기 스스로 그리고 그것을 지켜보는 타인을 굉장히 감동하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데 있다. 그리고 또하나, 사람들은 앞으로 나아가고픈 욕구가 있어서 더이상 나아갈 곳이 없는 막다른 지점에 서거나 막막할때면 새로운 관심 대상을 찾는다는것. 그중에서도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은 가장 심리적으로 안전한 선택이면서도 의외로 가장 쉽게 접근할수있는 방법론이라는 것.

 학부시절에 심리학과를 졸업하긴 했지만, 어린이발달이 주요 관심분야였던 발달심리학 시간은 별로 흥미를 느끼지 못했었는데, 어느날 읽은 심리학 책에서 '성인발달연구'라는 키워드를 발견하게 되면서 새로운 맥락에서 내가 했던 일들을 조금씩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그전에도,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사람들이 성장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것에 관심있어 하고, 그를 통해 감동받는 삶을 살것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은 어린이나 청소년, 혹은 전통적인 심리학에서 주로 대상으로 삼고 있던 대상들보다는, 나와 비슷하거나 우리 엄마와 아빠 비슷한, 내가 언젠가는 될 수 있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 대상에 더 가까운 일일 것이라는 것을 스스로 정리 할 수 있게 되었다.

고민을 시작하던 무렵에 어느날 엄마가 나한테 이렇게 물었다. '엄마 퇴직하면 뭐하지?' . 사실 엄마의 퇴직 이후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문득 걱정이 되었다. 아직 퇴임때 까진 12년 정도가 남았지만, 20대 이후로 주욱 사회생활을 해오시던 엄마에게 퇴직 이후는 어떤 삶이 주어질까.  그치만, 이 역시도 사람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하는 존재라는 명제를 크게 벗어나진 않았다. 어느날 등산을 하다가 내려오는길에 엄마가 이렇게 말했다. '엄마 상담심리학을 공부해 보는건 어떨까? 요즘 그 책들을 봤는데 재미있게 할 수 있을것 같아'. 얼마동안 내 책들이 엄마방 침대에서 발견되곤 하더니, 혹시 그 영향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 참 재미있다는 생각을 잠시 했다. 엄마가 진짜 일년이나 이년후에 심리학 대학원에 진학하실지, 아니면 그 사이에 또 다른 관심분야가 생겨 다른 계획이 생겨날지는 모를일이다. 그치만 그 역시 그녀가 고민하고 선택하겠지. 나는 옆에서 아주 조금 조력자 역할을 하면서, 열심히 그녀의 성장을 관찰해야겠다 생각했다. 

 한편 요즘 우리아빠는 며칠전부터 새로운 취미생활을 시작하셨다. 계속 쳐져있으신 모습이 걱정 되었었는데, 요즘은 우리 가족 중에 가장 에너지가 넘치시는것 같다. 그 모습이 꼭 내가 아주 어렸을 때 가장 왕성하던 아빠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생소하면서도 상당히 반갑기도 하고 좋은 때인것 같다. 아빠 스스로도 말씀하셨듯, 문제해결을 위해 출발한 이 취미생활은, 새로이 도전 할만한것 그리고 이를 위해 탐색해야할 정보들이 생겨나면서 굉장히 다이나믹한 프로젝트가 되어가는 느낌이다. 지속성의 문제나 비용의 문제 등은 논외로 하더라도 이러한 변화를 맞이 한다는 것은 분명 좋은 신호라고 느껴진다.

내가 줄곧 관심이 있는 것은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성장과 전환의 '계기'을 맞이할 수 있게 되는가의 문제다. 우리 엄마가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한 고민을 시작할때, 우리 아빠가 새로운 도전의 계기를 찾으려 혼자서 고군 분투할 때 어디에 가면, 어떤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마련되면 더 쉽고 다양한 선택을 할 기회가 주어질 수 있을까.

이를 성장이라는 키워드로 풀자면, 어떻게 하면 무한 잠재력을 가진 어른들의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을까 하는 것. 우리 막딩이가 먹는 키크는 한약이나, 성장판 자극 운동화같은 아이템들 처럼 어른들을 위한 서비스들은 어떻게 기획되고 유통되어야 하는 지의 문제

사실 내가 경험했던 프로젝트나 가족 이외에도
많은 사례들을 찾아보거나 경험해보고 싶다.
이 외에도 몇가지 심도있게 다루고 싶은 주제들이 생겼다.

생활문화공동체조사 때, 결국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보면 소수의 몇몇 사람들이 다양한 모임들을 움직이고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이 발견되었는데, 성인발달과 관련한 교육참여에 있어서도
- 개인 성향과 경제 여건의 차이가 큰 변수일까

왜 평생교육원이나 복지관 등에서 밸리댄스나 동화구연 처럼, 소수의 프로그램들이 확대 재생산 되는가?
- 프로그램 연구 개발의 문제일까, 수요에 따른 문제일까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프로그램 리스트가 주어지거나 이미 인지하고 있는 프로그램일때만
   그에 대한 수요를 느끼는가? (일종의 경험재이기 때문에)

홍보의 기획은 어떠해야 하는가?

 
+
행복의 조건 상세보기

+
꽃을 만나다. by 안쿵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