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베플릭. 질적연구 방법론 1장~3장

1장에서는 질적 연구가 주목을 받게 된 사회적, 학문 역사적 맥락을 짚고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특징을 기술한다. 급속한 사회변화, 다양해진 생활세계 등은 연구자들로 하여금 인간의 마음과 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요구하게 된다. 심리학 연구의 일상생활 관련성 결여의 비판, 현실상황을 이해하는데 있어 양적연구의 한계에 대한 자각은 질적연구가 가진 문제의식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저자는 질적연구가 다음의 네가지 기본적인 특징을 가진다고 보았다. 1) 연구대상의 복잡성에 적절히 개방되어 있는, 연구대상에 적합한 연구 방법의 사용, 2) 연구 대상자를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성, 3) 해석의 일부로서, 연구자 자신의 의견 반영, 4) 고정된 이론적, 방법론적 개념에 기초하지 않은 접근 방법의 다양성이 그것이다.

2장에서는 질적 연구의 세 가지 접근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첫 번째 이론적 전제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인데 이 입장에서는 개인이 어떤 현상에 대해 주관적으로 부여하는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두 번째 일상생활 방법론은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행위와 그 산물에 관심이 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질서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를 볼 수 있다. 마지막 세 번째는 구조주의적, 정신분석적 접근인데 이 입장은 심리 사회적 무의식 과정에 관심이 있다. 행위나 의미를 생성하는 심층구조를 재구성함으로서 이해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Flick은 접근방법의 삼각화를 제안한다. 이는 각기 다른 이론적 입장은 하나의 현상에 접근하는 다른 길이며, 접근방법에 따라 밝힐 수 있는 측면에 다르다는 태도를 취한다. 그러므로 접근방법을 서로 조합하거나 보완하여 사용하자는 제안이다.

한편 다양한 이론들 간에는 이러한 차이점 뿐 아니라 공통점도 존재한다. 인식론적 원칙으로서, 내부로부터 현상이나 사건을 ‘이해’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 질적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비교 혹은 일반화 이전에 개별 사례를 일관성을 가지고 재구성 하는 것, 연구의 기초로서 다양한 수준의 현실 구축, 실증적 자료로서 텍스트화 등의 그것이다.

 3장에서는 질적연구의 실증적 자료로서 기본이 되는 텍스트에 대해 이야기 한다. 연구를 위해 재구성된 텍스트는 현실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가? 텍스트와 현실과의 관계는 어떠한가?가 질문의 출발점이다. 저자는 이해를 인식론적 원칙으로 하는 질적 연구에서, 표현, 연구, 텍스트 등에서 현실이 비춰진다는 사고 방식은 잘못되었으며, 이것이 리쾨리가 말하는 ‘여러 단계의 미메시스적 순환’이라는 사고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고정된 현실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현실을 산출하는 행위다. 질적 연구과정에서 텍스트가 작성 될 때 텍스트 안의 현실 구축에는 연구대상자에 관한 텍스트의 저자 뿐 아니라 그것을 읽고 해석하는 독자도 관계하고 있으며 이 모든 구성의 폭을 아울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안쿵쿵's comments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롭고 유익했던 부분은 같은 질적 연구라 하더라도 대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다양한 수준이 있고, 각기 다른 수준에 따라 밝혀낼 수 있는 현상의 측면들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점이었다.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연구 사례들을 충분히 보지 못했기 때문에 각각의 연구 접근방법의 결과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이 되는지 잘 감이 오질 않는다. 하지만 앞으로 이 접근법들에 대한 배경 지식을 가지고 연구 사례들을 본다면, 배경지식 없이 읽었던 이전과는 조금 다른 지점들을 읽어 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긴다.

아직까지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방법론을 학습하지 않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질적 연구방법이라는 것이 구체적인 기술방식이나 명확한 분류법을 가지는 방법론이기 보다는, 관점이나 접근법을 다루는 측면이 더 강하다는 생각이 든다.

  통계로 대표되는 양적방법론의 경우 해석의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분석 틀이 몇 개로 한정되어 있고, 통계 결과 분석단계에서는 어떤 연구자든 일치된 결과를 쓴다. 하지만 질적 연구에서는 분류틀 자체가 재구성, 재정의 될 수 있고, 여러 연구자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같은 관점으로 접근을 하더라도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인지, 이전에는 양적방법론에 비해 질적방법론이 구체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는 생각을 여러 번 했었다. 그런데 질적 연구의 몇 가지 이론적 입장들을 읽다 보니, 양적방법론에 비해 질적방법론의 구체성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전제와 철학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정리하는 방식도 다른 것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서 저자가 표현, 연구, 텍스트 등에서 현실이 비춰진다는 사고방식은 잘못되었다고 지적한 점. 그렇기 때문에 연구대상자로부터의 1차 텍스트로부터 마지막 연구의 결과 텍스트가 독자들에 의해 일상으로 환원될 때까지의 여러 단계의 스펙트럼을 고찰할 필요성에서 미메시스의 과정을 제안한 것 모두 일리가 있는 제안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하나 생긴다. 그러한 과정을 엄밀하게 거친다고 하더라도 결국 사회과학자들이 볼 수 있는 것은 결국 언어화된 현실 아닌가? 다시 말해 질적 연구의 1차 자료가 텍스트란 것은 현실을 보기 위해서 언어를 도구로 사용한다는 건데, 과연 그 언어라는 도구는 현실을 완벽하게 설명하는 도구인가? 사회과학, 그리고 많은 질적 연구방법들은 언어가 가진 한계를 암묵적으로 전제를 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다양한 맥락과 텍스트를 고찰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장치들이 있는 것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