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베플릭. 질적연구방법. 2부. 연구설계
제니퍼 메이슨. 질적연구방법론. 2장. 질적연구의 기획과 디자인, 5장. 표집과 설계 

 Flick과 Mason은 사람들이 질적 연구에 대해 가진 오랜 오해와는 달리, 질적 연구에도 체계적인 연구의 설계와 엄격하고 체계적인 표본추출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양적연구와 비교하여, 질적 연구는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의 관계에 대해 독자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 개념규정, 연구방법설정, 실증조사의 단계로 넘어가는 선형적 흐름을 가진 양적연구에 비해, 질적 연구는 전체 연구의 각 부분이 상호의존적이 때문에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질적 연구를 추진하는데 이점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질적 연구의 이러한 특징은‘연구문제’를 명확히 하는 것을 매우 중요한 과제로 만든다. 이론적 가정을 중시하는 양적연구와는 달리 자료와 조사대상을 우선하는 근거이론에서 조사대상의 선정은 대표성 보다는 연구문제에 우선하며, 연구 하고자 하는 것과 연구 수행의 방법을 연계시키는 것도 연구문제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 문제는 명료하게 설정되고, 지적으로 유의미하며, 수행 가능한 성격의 것일 필요가 있다. Mason은 연구문제를 설정하는데 있어 탐구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질문, 주 관심영역, 지적 궁금증, 연구의 목적 등을 심사숙고 하기를 제안한다.

 한편 표본추출도 굉장히 중요하다. 질적 연구에서 표본추출은 사례표본추출, 사례집단 표본추출, 자료표본추출, 자료 내에서의 표본추출, 결과 제시의 표본추출 등 연구의 다양한 단계와 수준에서 나타난다. 표집 과정에서는 표집의 이유와 목적을 분명히 하고, 연구모집단에 대한 자신의 관심의 본질 파악하고 결정해야 하며 이에 따른 적절한 객체나 표집 단위를 결정해야 한다. 사전에 정의된 사회집단에 기초하여 표본을 추출 할 것인가 연구 과정내에서 표본추출 구조를 단계적으로 확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는데 질적연구에서는 후자가 선호되며 글레이져와 스트라우스는 이를 이론적 표본추출이라 명명했다. 이는 기초적인 모집단의 범위와 특성을 사전에 알 수 없어, 단계적인 기준을 정하여 여러 번에 걸쳐 표본추출 요소를 추출 하는 것으로 이때 시간적, 공간적, 사회구조적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표본과 모집단 간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Mason은 1) 대표성을 지니는 표본, 2)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3) 전 대상에 관련되거나 포함되는 과정, 유형, 범주, 사례, 예를 구성 하는 특정한 단위를 상세히 들여다 보기 위한 목적에서 표본이 추출되는 경우의 세 가지를 언급하였다. 한편 자료선택이라는 연구 단계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제언들이 언급되었다. 1) 극단 적인 사례를 목적지향적으로 통합, 2) 전형적 사례의 선택, 3) 표본 내 다양성을 최대화, 4) 결정적 사례, 5) 정치적으로 중요하거나 민감한 사례, 6) 편의성 기준.

표본의 크기에 관한 질문도 중요한데, 우선 의미있는 비교가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커야한다. 또한 표본의 크기는 연구과제에서 연구자가 추구하는 비교의 성격이나 연구문제, 구축하고자 하는 사회적 설명에 종류에 좌우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어떤 대상을, 왜 표집하는가에 염두에 두고 특정 연구가 어떻게 의미를 지니는가를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것이 왜 적절한가 하는 질문을 항상 제기해야 한다.

 

 

안쿵쿵's 질문

Sample과 Example

어떤 이들은 여기 담긴 이야기가 그저 몇몇 학생들의 사례에 불과한 것 아니냐고 말할지 모르겠다. 나는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한국의 학문하는 풍토가 갑갑하다. 한국의 식민화된 학문 풍토에서는 보편적인 것은 추상적인 것이라는 이상한 관념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것을 폄훼하는 경향마저 있다. 그러나 'sample'과 'example'은 아주 다른 것이다. 'sample'이 무작위로 뽑아내는 어떤 사례라고 한다면 'example'은 그 자체가 보편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례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이야기이다.... 학문이란 'sample'에서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구체적인 이야기인 'example'을 뽑아내는 과정이다. - 엄기호,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중에서

 
얼마 전에 엄기호 저,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라는 책의 서문을 읽게 되었는데, 거기서 Sample과 Example에 대해 소개하는 부분이 인상 깊었다. 일단 궁금한 것은 여기서 언급한‘Example’이라는 개념이 질적 연구방법을 쓰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많이 쓰여 지는 것인지 궁금하다. 조금 헷갈리긴 하지만, 위에 나온 엄기호의 설명을 이번 주 참고 문헌에 나온 Becker&Geer(1960)의 연구과정상 표본추출 결정의 분류법에 비유하면 Sample은 자료수집과정의 사례 표본추출, Example은 자료를 해석하거나 결과를 발표할 때의 표본추출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