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운 도시 서울로 돌아가 살 생각을 하면 벌써 숨이 턱턱 막힌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집을 알아보다가는 눈물을 주룩 주룩 흘릴 뻔한 정도.
그럴 때 마다, '
공부보단 시집이 먼저' 라는 아빠 말을 들을껄 하는 후회가 들기도 한다. 
 

말로만이었지만, 내가 올해 '결혼'이란 화두에 유난히 집착했던 이유에대해
롤랑바르트님하께서 약 3-40여년 전에 언급하신 이야기.


... 나를 둘러싸고 있는 그 안착한 사람들을 왜 나는 부러워 하는 걸까? 그들을 보면서 나는 무엇에서 제외되었다고 생각하는 걸까? 그것은 '꿈'이나 '목가적인 사랑' '결합'은 아닐 것이다. 안착한 사람들은 그들의 시스템에 대해 많은 불평을 하고 있고, 또 결합에의 꿈은 다른 문형을 이루기에, 아니 내가 시스템에서 환각하는 것은 아주 조촐한 것이다. (그것은 화려하지 않아 더욱 역설적이다). 나는 다만 하나의 구조( structure)를 바라고 원할 뿐이다. 물론 구조의 행복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구조는 살만한 것이며, 바로 거기에 구조의 가장 적절한 정의가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나를 행복하게 하지 않는 것 속에서도 잘 살아갈 수 있다. 불평할 수도 있고 지속할 수도 있다. 내가 감내하는 구조의 의미를 거부할 수도 있으며, 그 일상적인 몇몇 파편들(습관, 조그만 즐거움, 안정감, 견딜 수 있는 것들, 일시적인 긴장감)을 과히 불쾌하지 않게 통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때로는 이런 시스템의 지속에 대해(바로 이 점이 시스템을 살 만한 것으로 만든다) 어떤 변태적인 취향도 가질 수 있다. 다니엘 르 슬리트는 기둥 꼭대기에서도 잘 살았다. 그는 기둥으로 부터 하나의 구조를 만들어 낸 것이다(물론 어려운 일이긴 하였지만) ...

...구조들의 힘, 바로 그것이 우리가 구조에서 원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

- 롤랑바르트, 사랑의 단상 中 "모든 안착한 사람들"


아마 롤랑바르트님하가 구조주의에 심취하셨을때 쓴 글일텐데,
그렇게 치면 내가 큰 학교에가서 공부를 하려고 하는 것도 '안착하고싶은 욕구'
혹은 '구조들의 힘'과 별개의 것이라고 말할 순 없는 문제인듯 ㅋㅋㅋ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