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
문화기획학교에서 기획한 문화기획 릴레이 좌담, 오늘은 이윤호대표님의 문화기획, 인문학을 말하다

[현황]
요즘 안쿵쿵의 상태는 앞으로 뭘 해야할지 막막함.
이제까지 해오던 것들이 오히려 모호해 지거나 다르게 해석되는데다
내가 안다고 생각한 영역들에서 새로운 개념어가 하나씩 생겨나가는 것에 대해서 극도의 히스테리 상태
특히 일 말고도 가족과 연애 등에서 사건사고가 많았던 터라, 어떤 가치관과 스타일을 가져야하나... 하는 사춘기스런 고민도있음
사춘기 소녀가 아버지한테 반항하듯.. 특히 '자기브랜드를 가져야한다'는 비전이 부담스럽기 보다 공감이 잘 안됨
          
[키워드]
창의력, 조직, 자기성장, 바쁨과 느림, 자기고민, 교육, 자존감과 자신감


[그래서...]

1.
문화기획이란것에 처음 발디딜때 부터 입버릇 처럼 말하던 것이 있었다.
"나는 축제나 공연을 기획하려고 문화기획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사람들의 일상에 파고들고 싶다."

기분좋은QX가 내게 매력적이었던 이유도 바로 그 맥락이었다. 굳이 '일상'과 같은 뻔한 화두를 드러내진 않았지만,
문화기획이라는 것에서 '문화'의 범주가 대단히도 넓거나 모호한 것이 내겐 매력이었다.
그리고 대단히 많은 뜻을가진 '문화'를 수백만가지로 정의하고 그 정의에 따라 실천할 수 있을것만 같은 기대이기도 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내가 답답하거나 힘든건 내가 다루는 '문화'의 범위를 너무 열어 두었거나 혹은 너무 일부에만 개입이 되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어찌되었건 아직도 고민이다. 어쩌면 평생 고민하고 토론할지도.

오히려  '문화'라는 것을 자꾸만 정의하려 하지 말고
'자가성장'과 같이 기획의 원동력과 같은 것들의 소스를 찾아내어
그러한 소스들로 실행의 언어를 만들어 내는것이 답을 빨리 찾는 방법일 수도 있다.


2.
한 청소년 지도사에게 이윤호 대표는 이러한 조언을 해주었다.
선생님이 청소년에게 해주어야 하는 것은 '잘난척 하는 것이 좋은것이라고 지지해 주어 청소년들이 자신감을 갖게 하는것'
이 이야기를 하며 자신의 고등학교 시절 팔만대장경에 무슨내용에 쓰여있는지 물었다가 혼난 이야기,
꽃을 그리라는 선생님의 말에 스케치북을 온통 새까맣게 칠한 아들이 선생님에게 혼난 이야기 등을 해주셨다.
정형화되고 표준화된 교육이 주는 한계, 그래서 교육 실험이 필요하지만 우리 모두가 표준화된 교육의 한계속에서 자라왔던 사람이라는것을 깨달았던 경험등을 이야기 하는 부분들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에이스벤추라의 똘샘이 문화기획학교를 마치고 바보가 된것 같았다라는 도발을 하며,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로서의 고민들을 질문한 것도 내게는 나름 수확이었는데, 에이스벤추라와 차차 만나면서 고민들을 나누고 싶어졌다.


3.
관점의 변화, 긍정적인 자기인식 등을 화두로 하는 나의 미래 설계중에
어쩌면 '교육'이라는 콘텐츠가 중요하게 자리잡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언젠가 일기장에 쓴적도 있던것 같은데, 어린시절에는 막연하게 엄마나 선생님들에 대한 반감으로
 난 절대 선생님이 되지 않을 거라고 했었는데  20대 중반을 지나면서 꼭 선생님이 아니더라도
 어떤식으로든 '교육'이라는 것과 가까이에 있을 것이라는 예감같은것이 있다)


*
뭔가 솔깃한 이야기들이 많았는데,
역시나 자기고민을 해소해줄 수 있는 지점들을 발견하는 것이
좋은 강의, 좋은 문화콘텐츠의 진정한 기능이 아닌가 하며-
경사마의 표현을 빌자면, 은혜를 입는 좌담회였다.  

다음에는 친구들도 초대해야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어도 48개의 뜻은 나오겠다. 훗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