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신감 [背信感] 
[명사] 믿음이나 의리의 저버림을 당한 느낌.
-------------------------------------------------------------------

사전에서 배신감이라는 단어를 무심코 찾았다가 멍해졌다.

사전적 의미에서,
이 감정은 믿음이나 의리가 있을때, 혹은 그 관계에서 생긴다.
믿음이, 사랑이, 기대가 클수록 저버림을 당한 느낌도 더 클까

불쑥 불쑥 나를 괴롭히는 감정들과,
요즘 나에게, 혹은 나와 밀접한 관계 속에 있는 이들에게
화를 주체하지 못하고 발산해 버리고 마는 몇명의 사람들을 떠올렸다.
어쩌면 많이 믿고, 많이 사랑하고, 많이 기대했던 순수한 영혼들일지 모른다.

궁금한것은,
회복해야 할것이 그로 인한 상처일까, 그 감정 자체일까
그 감정은 과연 회복될 수 있는 종류의 것일까.

점점 확실해 지는 것은,
배신감이라는 감정의 배경에는
믿음과 사랑과 기대가 조건절로 존재하지만

그 배신감이
믿음과 사랑과 기대가 줄어드는 것에 대한
조건절이 될수는 없다는 것.  















* 나 아래 책 사줘. 아.. 조국 선생님 강의에 결국 못가 아쉬웠었던 바로 그 강의, 그 책!


21세기를 사는 지혜 배신
카테고리 인문
지은이 김용철 (한겨레출판사, 2008년)
상세보기

책 소개
배신을 권하는 사회, 대한민국
배신의 정신분석부터 딜레마까지, 배신 전격 대해부!


널리고 널린 배신, 수시로 겪는 배신감. 21세기 대한민국에는 배신이 창궐한다. 아름다운 연애사를 종식시키는 배신부터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 모신 대통령의 배신까지……. 이 모든 배신의 정체를 우리 시대 최고의 명사들이 전격 해부했다.
삼성을 배신하고 우리 사회에 대한 신의를 지켜낸 김용철 변호사, 진짜 배신과 유사 배신 사이에서 허우적대는 우리에게 밝은 지표를 건내는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정권의 몰락과 함께 저버리는 배신자가 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대중을 배신하는 논객 진중권, 인간과 동물의 배신의 차이에 대해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뇌과학자 정재승, 잘살게 해주겠다는 대통령의 굳은 맹약을 낱낱이 파헤쳐 진실을 드러내는 정태인, 국민을 배신한 법률가들의 어두운 공모와 학생을 배신한 폴리페서의 치사한 뒷모습을 내부고발하는 서울대 법대 조국 교수.
2008년 최고의 화두 ‘배신’ - 그 뿌리 깊은 감정의 고갱이를 말하는 여섯 명의 입에 주목하자. 그러나 방심은 금물! 이들도 언제 우리의 뒤통수를 때릴지 모르니.

*이 책은 2008년 3월 24일~4월 8일에 열린 '한겨레21' 창간 14돌 기념 ‘제5회 인터뷰 특강’을 정리한 것이다. 특강의 사회는 2회와 3회 인터뷰 특강을 진행한 배우 오지혜가 맡았다.

김용철|나는 배신의 DNA를 가졌는가? “길거리에 소매치기가 아무리 횡행해도, 증거가 있고 잡힌 사람은 처벌해야 하는 거 아니겠어요? 살인범이 아무리 많다 해도, 걸리는 대로 처벌해야 될 거 아니에요? 삼성의 문제는 일개 기업의 문제 수준은 넘어섰습니다. 그 조직이 문제를 갖고 있다면, 해결을 해야 하지 않겠어요? 우리가 몇 년에 한 번씩 주권을 행사해서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뽑는데, 또 다른 최고권력자가 있다면 문제겠죠.”

정혜신| 배신을 분별하는 지혜에 대하여 “우리의 판단력을 마비시키는 배신감이라는 감정과 배신자의 낙인에 대해 분별력을 가지고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너무도 쉽게 배신감을 느끼고 상대의 행동을 배신으로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배신감의 과잉상태인 것이죠. 이것이 진짜 배신인지 객관적으로 분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게 나와 내가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길이기도 해요.”

진중권| 대중은 언제부터 우리 사회를 지배했나 “대중은 배반해야 하는 대상입니다. 저는 늘 같은 이야기를 해요. 먹물들은 일관성을 가져야 하거든요. 어떤 이야기를 했을 때 대중이 환호해요. 그런데 같은 이야기를 맥락만 바꿔줘도 막 반대합니다. 많은 경우에는 조삼모사 같아요. ‘와! 우리 편이다!’ 하고 좋아하던 사람들이 같은 이야기를 듣고 ‘저놈이 또 우리를 배신했어!’라면서 욕하죠. 저는 이런 의미의 배신은 늘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재승| 과학의 눈으로 보는 배신의 정체성 “내 집단의 이익을 옹호하지 않음으로써 더 큰 집단에 대한 신뢰를 지키려는 노력은 인간 외에 그 어떤 동물 집단에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배신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행동은 배신이 아니라 어찌 보면 지식인의 책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태인| 747은 어떻게 서민을 배신할 것인가 “모든 사형수가 자기는 특별사면을 받아서 사형 안 될 거라고 생각한대요. 그런데 지금 우리 국민들의 심리가 이것과 비슷합니다. ‘우리 애들은 특목고 갈 수 있겠지.’ ‘뉴타운 개발하면 뭔가 떡고물이 떨어지겠지.’ 이 게임은 언제나 부자들이 이기게 돼 있는데, 언론은 부자가 아님에도 성공한 사람들을 찾아내서 대대적으로 보도합니다. ‘나도 가질 수 있다’는 환상을 자꾸 심어주는 겁니다.”

조 국| 그들은 어떻게 한국을 어지럽혀놓았나 “정의의 여신은 눈을 수건으로 가리고 한 손에는 천칭을, 한 손에는 칼을 들고 있는 것이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편견 없이 진상을 밝혀내고 균형 잡힌 판결을 하겠다는 의미겠죠. 그런데 우리나라의 정의의 여신은 종종 수건을 내리고 누가 자신 앞에 왔는지 살짝살짝 보는 것 같아요. 우리 사회의 법률가들은 법의 정신을 배신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터파크 제공]

'고요하게빛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 봄비, 바람, 그리고 음악  (1) 2009.02.13
나도..  (0) 2009.02.12
애쓰다.  (0) 2009.02.10
고백!  (1) 2009.02.10
어이상실  (0) 2009.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