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커뮤니티 아트 이해의 전제

- 공공영역에서의 예술, 즉 국민의 세금으로 국가가 지원하는 예술영역은 주로 갤러리, 공연장, 음악당, 아트센터
   등 대형 건축물 중심으로 발전
- 건축물 중심 예술발전의 이론적 근거는 관심있는 사람이 연극, 음악, 그림을 감상하며, 예술적 행위에 참여하기
   위해 공연장 등의 건물에 기꺼이 온다는 것임
- 이는 예술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는 프랑스, 영국 등 대부분 서방국가가 견지해 왔던 지배적태도,관점
- 1960년대 후반부터 이런 지배적 태도,관점과 다른 의견을 주장하는 사람들 대주
- 이들은 건물중심의 예술을 'their culture'라 인식하고, 건물에 발을 내딛지 않는 다수 대중을 위해 '우리들의
   문화' 만들기를 주장'
- 이들은 건물중심공간에서 소수예술가와 소수 참가자 간 일어나는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소통과 교류보다는
   다수의 참여가 가능한 비 전통적인 공간에서 대중과 예술가의 쌍방향 소통을 강조
- 이들은 예술에 대한 인식, 예술과 사람의 관계, 예술가와 그들이 속한 공동체와의 관계, 사회변화를 위한 예술의 역할 등을 새롭게 모색, 당시 주류 예술세계에 대한 거부와 반대의 목소리를 내며, 스스로 커뮤니티아트 활동가로 부름

2. 커뮤니티아트의 주요 개념

가. 커뮤니티

- 공통적인 삶의 기반요소를 지니는 사람들로 구성
- 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들이 살고있는 지역성과, 거기서 일어나는 지속적인 공동체적 삶의활동
- 구체적 구성 요소로는 지역, 혈연, 인종, 성, 연령 등
- 사람들은 여러층위에 다양한 공동체에 속할 수 있음


나. 커뮤니티 아트

- 공동체 예술, 공동체의 이해에서 출발한 예술로 해석 가능
- 공동체의 이해는 청소년 교육문제, 여성차별문제, 인종차별문제, 노동자/실직자/은퇴자의 이해, 지역발전문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 공동체의 이해를 중심으로 대중이 예술창작에 직접 참여
- 다양한 종류의 공동체 활동을 내포하며,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 생겨날 수 있는 예술활동
- 전문예술과로부터, 지역주민의 욕구로 부터 생겨날 수 있으며, 지역의 아트센터, 학교, 미술관 등에서 생겨날 수 있음


다. 커뮤니티아트의 목표

- 많은 대중의 예술참여를 통해 예술의 접근성 확대에 최우선 목표를 둠
- 소수 사회 구성원을 위한 제한된 예술, 직접적 참여가 배제된 수동적 예술을 배척
- 보다 많은 다수를 위한 예술, 직접 참여하여 만드는 예술, 공동체의 관심을 반영하는 예술을 지향


라. 커뮤니티 아티스트

- 대중의 예술창작 참여를 유도하는 매개자이며, 참여자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촉매자
- 제작과정과 워크숍 등을 통해 창여자에게 예술적 기술을 전수하거나, 이들의 창조활동을 이끔
- 예술과 공동체의 관계 및 공동체에 미칠 영향에 주된 관심
-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지역공동체 내의 사회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를 도모하는 수단으로 인식
- 커뮤니티아트 참가자들에게 창조적 역량을 인식시키고, 창조과정을 통해 지역공동체에 대한 경험과
   이해의 폭을 넓혀주며, 지역공동체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삶의 질을 고양시킴



마. 커뮤니티아트의 변천

- 초기에는 68변혁운동의 강한 추진력으로 상당히 진보적 형태의 커뮤니티아트도 등장
- 대표적인 것이 1970년대 사회 경제적 급진적 변혁을 꿈꾸며 활발히 전개되었던 정치연극
- 19080년대 이후 서구사회의 보수화가 가속화 되면서 사회변혁을 위한 진보적 커뮤니티 아트 운동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됨
- 영국의 경우 1980년 보수당 대처 정부의 보수화 정책으로 진보적 예술운동에 대한 재정지원을 줄여나가자
   사회변혁운동으로서의 커뮤니티아트 운동은 힘을 상실
- 오늘날에는 교육, 지역, 인종, 노동, 여성 등 커뮤니티 이슈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 전개


출처 : 커뮤니티 아트 진흥 방안 연구 (2007_한국문화관광연구원_전병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