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블레스 노마드(noblesse nomad)’

  현대 사회에서 삶을 영위하는 태도는 옛날과는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된다. 조직화와 단일화를 거부하며 개인적 삶의 가치 추구를 중요시하는 태도는 현대적 삶의 방식의 한 경향으로까지 이어지며, 이를 노마드(Nomad)라는 용어로 설명하기도 한다.

 

  노마드는 유목민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철학 및 사회문화 용어로 '노블레스 노마드(Nobless Nomad)' '디지털 노마드' '잡 노마드' 등 각기 다른 키워드로 그 대상을 구분하고 있지만 결국 경험을 중시하며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을 일컫는 대명사라는 면에서 일맥상통한다.

 

  끊임없이 이동하며 살아가야 하는 유목민들은 항상 짐을 간편하게 꾸리고 무게를 줄이는 것이 생활화돼 있다. 기능이나 효율을 유지하면서 짐을 줄이는 방법, 이것은 유목민들이 살아가면서 터득한 지혜다. 그래야만 언제 어디서나 다른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독일 미래학자 군둘라 엥리슈는 저서 ‘잡노마드 사회(job nomaden)’에서 현대인을 ‘유목민(노마드 nomad)’으로 표현한다. 유목민은 언제라도 떠날 준비를 하며 짐이 되는 것을 기꺼이 버린다. 그들은 ‘소유’보다 ‘경험’을 최고의 재산으로 여긴다.

 

   ‘노블레스 노마드(noblesse nomad)’란 명품과 골동품 등 겉치레 문화를 거부하고 여행, 레저, 공연 관람 등 무형의 경험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들은 1980년대 이후 어린 시절을 부족함 없이 보낸 젊은 세대로 해외여행이 빈번하고 문화나 정보 흡수가 빠른 20∼30대의 ‘귀족형 유목민’이다. 이들은 낯선 곳의 여행을 통해 자기를 성찰하며 혼자나 몇몇 지인끼리 조용하고 창의적인 여행을 즐긴다.

 

  ‘노마드족’이 확산되면서 그 종류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우선 노마드족의 대명사격이었던 ‘디지털 노마드족’은 ‘유비 노마드(ubi nomad)족’으로 진화하고 있다. 무선랜 노트북과 PDA(개인휴대단말기)폰, 외장형 하드디스크 등 최신 전자제품으로 무장하고 공간 제약 없이 업무를 처리하는 디지털 노마드족의 개념이 컴퓨터 접속 네트워크로 모든 일을 처리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 맞게 더욱 정교화된 것.

  유비 노마드족은 텔레매틱스가 장착된 자동차로 처음 가는 곳도 지름길로 척척 찾아가고, 무선전파식별(FRID)장치가 내장된 휴대전화로 정류장에서 기다리는 버스가 어디쯤 오고 있는지 알아본다. 밖에서도 휴대전화로 집 안의 가스밸브를 잠글 수 있고, 목욕물도 미리 데워 놓는다. 유비 노마드족에게는 멀리 있는 친구에게 자기 위치를 알려주는 것도 식은 죽 먹기다.

  ‘노블레스 노마드(noblesse nomad)족’은 명품, 골동품 등 물건을 소유하는 대신 여행, 레저, 공연 관람 등 무형의 경험을 수집하는 새로운 소비자층이다. 최근, 물건의 소유보다는, 감성을 풍부하게 만드는 ‘경험’을 선호하는추세가 반영된 것이다. 세상은 풍부한 경험으로 삶을 풍족하게 만들려는‘노블레스 노마드’의 소비 양식에 새삼 주목한다. 이들은 비싼 물건으로 신분을 과시하는 겉치레 문화를 거부한다. 대신 자신이 하고 싶고 누리고싶은 경험적인 일에 아낌없이 투자한다. 이들은 더 많이 보고, 느끼는 체험적인 삶을 통해 자기계발을 하고, 궁극적으로는 자기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싼 물건으로 치장하기보다는 지금 아니면 할 수 없는 경험을 재산으로 삼는 ‘귀족형 유목민’이다. 


  경기 침체와 취업난이 만든 슬픈 신조어도 있다. 이른바 ‘강의 노마드족’으로 불리는 취업 준비생들. 취업 경쟁에서 자격증과 영어 점수 등이 중요해지자 전공 과목 외에 ‘실용형’ 강의를 들으러 이곳저곳 유랑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토익, 취업 강좌, 경영학 강좌 등에 가 보면 이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최근 들어서 문화예술 분야에서 노마드(유목민) 또는 노마디즘(유목주의)만큼 자주 쓰이는 용어가 없는 것 같다. 패션, 미술, 문학, 철학, 리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멋대로 쓰이고 있다. 그러다 보니 청담동 레스토랑에서 파는 국적 불명의 퓨전 요리도 ‘노마드’고, 특정한 직업 없이 이런저런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여행 경비를 버는 젊은이도 ‘노마드’고, 인터넷의 힘으로 기존 정치 판도를 바꾼 노사모도 ‘노마드’다.

'넌 대체 뭐가 되고 싶니 > 기록의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남매상에 옷 입혀줬을까 _ 090112 경향신문  (0) 2009.01.13
오바마, '미국의 마음'  (0) 2008.11.05
꿈과 비전  (0) 2008.08.20
커뮤니티 아트  (0) 2008.02.18
사회성 여가  (0) 2008.02.18

1. 커뮤니티 아트 이해의 전제

- 공공영역에서의 예술, 즉 국민의 세금으로 국가가 지원하는 예술영역은 주로 갤러리, 공연장, 음악당, 아트센터
   등 대형 건축물 중심으로 발전
- 건축물 중심 예술발전의 이론적 근거는 관심있는 사람이 연극, 음악, 그림을 감상하며, 예술적 행위에 참여하기
   위해 공연장 등의 건물에 기꺼이 온다는 것임
- 이는 예술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는 프랑스, 영국 등 대부분 서방국가가 견지해 왔던 지배적태도,관점
- 1960년대 후반부터 이런 지배적 태도,관점과 다른 의견을 주장하는 사람들 대주
- 이들은 건물중심의 예술을 'their culture'라 인식하고, 건물에 발을 내딛지 않는 다수 대중을 위해 '우리들의
   문화' 만들기를 주장'
- 이들은 건물중심공간에서 소수예술가와 소수 참가자 간 일어나는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소통과 교류보다는
   다수의 참여가 가능한 비 전통적인 공간에서 대중과 예술가의 쌍방향 소통을 강조
- 이들은 예술에 대한 인식, 예술과 사람의 관계, 예술가와 그들이 속한 공동체와의 관계, 사회변화를 위한 예술의 역할 등을 새롭게 모색, 당시 주류 예술세계에 대한 거부와 반대의 목소리를 내며, 스스로 커뮤니티아트 활동가로 부름

2. 커뮤니티아트의 주요 개념

가. 커뮤니티

- 공통적인 삶의 기반요소를 지니는 사람들로 구성
- 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들이 살고있는 지역성과, 거기서 일어나는 지속적인 공동체적 삶의활동
- 구체적 구성 요소로는 지역, 혈연, 인종, 성, 연령 등
- 사람들은 여러층위에 다양한 공동체에 속할 수 있음


나. 커뮤니티 아트

- 공동체 예술, 공동체의 이해에서 출발한 예술로 해석 가능
- 공동체의 이해는 청소년 교육문제, 여성차별문제, 인종차별문제, 노동자/실직자/은퇴자의 이해, 지역발전문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 공동체의 이해를 중심으로 대중이 예술창작에 직접 참여
- 다양한 종류의 공동체 활동을 내포하며,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 생겨날 수 있는 예술활동
- 전문예술과로부터, 지역주민의 욕구로 부터 생겨날 수 있으며, 지역의 아트센터, 학교, 미술관 등에서 생겨날 수 있음


다. 커뮤니티아트의 목표

- 많은 대중의 예술참여를 통해 예술의 접근성 확대에 최우선 목표를 둠
- 소수 사회 구성원을 위한 제한된 예술, 직접적 참여가 배제된 수동적 예술을 배척
- 보다 많은 다수를 위한 예술, 직접 참여하여 만드는 예술, 공동체의 관심을 반영하는 예술을 지향


라. 커뮤니티 아티스트

- 대중의 예술창작 참여를 유도하는 매개자이며, 참여자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촉매자
- 제작과정과 워크숍 등을 통해 창여자에게 예술적 기술을 전수하거나, 이들의 창조활동을 이끔
- 예술과 공동체의 관계 및 공동체에 미칠 영향에 주된 관심
-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지역공동체 내의 사회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를 도모하는 수단으로 인식
- 커뮤니티아트 참가자들에게 창조적 역량을 인식시키고, 창조과정을 통해 지역공동체에 대한 경험과
   이해의 폭을 넓혀주며, 지역공동체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삶의 질을 고양시킴



마. 커뮤니티아트의 변천

- 초기에는 68변혁운동의 강한 추진력으로 상당히 진보적 형태의 커뮤니티아트도 등장
- 대표적인 것이 1970년대 사회 경제적 급진적 변혁을 꿈꾸며 활발히 전개되었던 정치연극
- 19080년대 이후 서구사회의 보수화가 가속화 되면서 사회변혁을 위한 진보적 커뮤니티 아트 운동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됨
- 영국의 경우 1980년 보수당 대처 정부의 보수화 정책으로 진보적 예술운동에 대한 재정지원을 줄여나가자
   사회변혁운동으로서의 커뮤니티아트 운동은 힘을 상실
- 오늘날에는 교육, 지역, 인종, 노동, 여성 등 커뮤니티 이슈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 전개


출처 : 커뮤니티 아트 진흥 방안 연구 (2007_한국문화관광연구원_전병태)

1. 개념

- 여가행위자가 그 활동의 목적으로 내적보상인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것 이외에
  사회공헌적인 가치를 구현하는 여가활동
- 여가의 기능 중 이타성이나 사회공헌성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
- 이타성목적 수행과정에서 자기계발(여가기술 습득), 자기정화(심리적 충족감), 자기표현 등의 이차적보상에 의해 동기부여
 * 자원봉사 : 기본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하는 활동
    사회성여가 :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한 형태로, 사회공헌행동 자체가 개인의 즐거움이자 행복


2. 특징

1) 동시성
    - 자기만족과 사회공헌
    - 사회문제의 해결과 삶의 질에 기여(에리히코헨,1991)
    - 이타주의, 특별한일, 사회적 접촉, 칭찬, 존경, 감사 등 사회적 승인에 대한 욕구 ~~

2) 유연성
    - 태도의 유연성 : 유희성
    - 조직의 유연성 : 가변성
    - 대상의 유연성 : 다양성

3) 주체성
    - 운영의 자유
    - 참여민주주의 확산

4) 지속성 및 전문성
    - 생활의 일부로서 지속적으로 전개하는 여가활동
    * 인터액션을 많이 경험한 사람이 사회공헌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경향 (robert putnam,사회자본론)
   

3. 유형

1) 참여유형별

(1) 볼런테인먼트(voluntainment)
- 기존 자원봉사에 즐거움과 재미 행복의 요소를 더한 개념(봉사자와 수혜자의 수직적 관계 탈피)
- 자유시간동안 사회적 가치 실현의 목적
- 주관적 만족감이 지속적 활동 참여의 배경이 됨

가. 시간나눔형
- 자유시간동안 가치있는 일을 탐색
-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대학생이나 주부들이 시간을 유익하게 보내려 선택
- 봉사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여가기술 발전
ex. 대학생 봉사프로그램, 서울숲 지킴이 등

나. 관계지향형
- 자원봉사 참여 목적이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과 교제
- 비슷한 취미나 관심, 환경적 배경을 가진사람들의 모임에서 출발하여 이타적 활동으로
ex. 학부모모임, 동호회 활동 등


(2) 진지한 사회성 여가
- 준전문가 수준으로 보유한 여가관련 노력, 지식, 훈련을 다른사람과 공유
- 자발적으로 자신의 여가기술을 교습, 지도하는 것이 특징

가. 매니아유형
- 매니아적 성격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관련 사회공헌 활동으로 발전
ex. 축제, 공연, 스포츠이벤트 서포터즈, 자원활동가

나. 멘토형
- 여가에 대한 적절한 지식과 경험축적을 다른사람에게 교수, 지도
- 중년기 또는 노년기에 자신의 특기 여가기술을 통해 어린이, 소회계층에게 기술 전파및 전수



2) 내용별


가. 공연

나. 여행지에서 봉사활동(볼런투어)
- 외국인과의 교류와 문화체험이 동시에 가능
- 소외지역 봉사활동, 지역경제, 관광활성화 가능

다. 환경보호나 문화제 보호를 위한 모니터링
- 환경오염에 대한 조직적 대응
- 문화유산답사 - 문화재보호


3) 참여자 별

가. 주부
- 여성의 자기계발 및 사회참여욕구 충족, 지역사회 발전
- 자원봉사활동참여실태조사(행정자치부,2005) 전업주부가 전체 중 28.7%
- 다양한 욕구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지 않고 있음
- 사교육비 해결에 직접 뛰어들 고 있음 ; 방과후활동에 대한 지도 등

나. 노인
- 노인문제 해소
   : 자신의 유용함 확인, 소외감 해소, 의사소통의 기회, 보람있는 여가위한 기본역할 기회, 사회적지위확인
- 전문직 퇴직자들의 강연 등의 기회는 노인 만족감 증대 뿐 아니라, 지적자산의 사회적 환원효과

다. 기업
- 사회적 책임 수행이라는 새로운 경영 이념
- 기업자체가 추구하는 사회 경제적 목적 달성 뿐 아니라 , 근로자 개인의 기대와 욕구에 창의적으로 반응




출처 : 사회성여가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2007_한국문화관광연구원_윤소영)


 


+ Recent posts